- 2차 이상 백금기반요법에 반응한 gBRCA 변이뿐만 아니라 sBRCA 변이 유지요법 및 4차 이상 BRCA 변이 치료요법으로 난소암 환자에서 급여 사용 가능
- 제줄라®, 최초로 BRCA 변이 여부와 관계없이 투여 가능한 PARP 억제제이자 국내 유일하게 1~4차 이상까지 난소암 모든 치료단계에서 허가 받은 PARP 억제제

한국다케다제약(대표 문희석)은 난소암 치료제 제줄라®(성분명: 니라파립)가 2월 1일부터 2차 이상 백금기반요법에 반응한 백금민감성 재발성 BRCA 변이 유지요법 및 4차 이상 BRCA 변이 치료요법에서 건강보험 급여가 확대 적용된다고 밝혔다.1
이를 통해 제줄라®는 ▲ 2차 이상의 백금기반요법에 반응(CR 또는 PR)한 백금민감성 재발성 BRCA 변이 고도 장액성 난소암, 난관암, 일차 복막암의 유지요법*,†과 ▲ 4차 이상 BRCA 변이 재발성 고도 장액성 난소암, 난관암, 일차 복막암의 치료요법‡에서 급여 처방이 가능하다.1
기존에는 2차 이상 유지요법에서 백금민감성 재발성 생식세포(germline) BRCA변이 난소암 환자에서만 급여가 가능했지만, 이제는 체세포(somatic) BRCA 변이를 포함, 변이가 일어난 세포 종류에 관계없이 BRCA 변이 유전자를 보유한 환자로 범위가 확대된 것이다.
제줄라®의 이번 급여 확대는 NOVA와 QUADRA 임상 연구에서 각각 확인된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이 근거가 됐다. , 재발성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NOVA 임상 연구 결과, 제줄라® 투여군의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은 상동재조합결핍(HRd) 양성 및 체세포(somatic) BRCA 변이가 있는 환자군에서 20.9개월로, 위약군의 11개월과 대비해 약 2배 우수하며, 질병진행 및 사망위험을 73% 낮추는 것으로 확인됐다. (HR=0.27, 95% CI 0.08-0.90 P=0.02).3
또한 이전에 3차 이상 치료 경험이 있는 난소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QUADRA 임상 연구 결과, 제줄라® 투여 시 객관적 반응률(ORR)은 BRCA 변이 백금 민감성 환자군에서 39% (7/18, 95% CI: [17, 64]), BRCA 변이 백금 저항성 환자군에서 29% (6/21, 95% CI: [11, 52]), BRCA 변이 백금 불응성 환자군에서 19%(3/16, 95% CI: [4, 46])를 보이면서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했다.2,4 안전성 프로파일은 두 임상 모두 용량 조절을 통해 양호하게 관리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3,4
김영태 대한부인종양학회장 (연세대학교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은 “난소암은 재발이 잦아 치료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그동안 치료 옵션이 적었던 질환인데, 이번 제줄라®의 급여 확대 소식을 통해 더 많은 환자들이 혁신적인 약제를 사용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 특히 제줄라®는 하루 1회 2~3캡슐만 복용하기 때문에 환자들도 더욱 부담 없이 질병을 관리할 수 있는 약제다. 2차 및 4차 이상에서 급여 확대가 된 만큼 1차 치료에서도 약제 접근성이 강화되어 제줄라®가 필요한 환자들이 적절한 시기에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국다케다제약 항암제사업부 김정헌 총괄은 “이번 급여 확대를 통해 제한적인 치료 환경에서 난소암 치료를 지속하고 있는 많은 환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전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 제줄라®는 BRCA 변이가 있는 환자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였고, 국내에서 최초로 BRCA 또는 HRd 변이가 없는 환자에게도 1차 및 재발 시 사용가능 할 뿐만 아니라 난소암의 모든 치료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PARP 억제제인 만큼, 더 많은 환자들이 개선된 치료 환경에서 오랫동안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다”고 강조했다.
제줄라®는 최초로 BRCA 변이 여부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PARP 억제제로, 2017년 3월 미국 FDA 허가를 받았으며 국내에서는 2019년 3월 첫 허가를 받았다.2, 1차부터 4차 이상까지 난소암 치료의 모든 단계에서 허가를 받은 첫번째 PARP 억제제로, 현재 ▲ 1차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에 반응(부분 또는 완전반응)한 난소암(난관암 또는 일차 복막암 포함) 성인 환자의 유지요법 ▲ 2차 이상의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에 반응(부분 또는 완전반응)한 백금민감성 재발성 고도장액성 난소암(난관암 또는 일차 복막암 포함) 성인 환자의 유지요법 ▲ 이전에 3차 이상의 항암화학요법을 투여 받은 적이 있는 1) BRCA 변이(백금 민감성 여부에 무관) 또는 2) 백금민감성 상동재조합결핍 (HRd) 양성인 재발성 난소암(난관암 또는 일차 복막암 성인 환자 포함)의 치료요법에서 사용 가능하다.2
* 백금계 항암제 완료 후 8주 이내 투여
† 유지요법 시행 직전 투여된 백금기반요법은 bevacizumab 포함 요법을 제외하며, 이전에 PARP 억제제를 투여 받은 적이 없어야 함
‡이전에 PARP 억제제를 투여 받은 적이 없어야 함
제줄라®(Zejula)에 대하여
제줄라®는 최초로 BRCA 변이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PARP(poly ADP-ribose polymerase) 억제제로2,3 항암전문 바이오제약사인 테사로(Tesaro)가 임상 개발을 진행한 치료제다.
2016년 미국 FDA로부터 백금기반 화학요법에 완전 혹은 부분 반응을 보이는 재발성 상피세포 난소암, 나팔관암, 원발성 복막암 성인 환자의 유지요법 치료제로 신속 심사 대상(Fast Track designation)에 선정됐으며 2017년 3월 미국 FDA 허가를 받았다.5
국내에서는 2018년 4월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으며 2019년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품목 허가2를 획득했고, 지속해서 적응증을 확대해가고 있다. 현재 ▲ 1차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에 반응(부분 또는 완전반응)한 난소암(난관암 또는 일차 복막암 포함) 성인 환자의 유지요법 ▲ 2차 이상의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에 반응(부분 또는 완전반응)한 백금민감성 재발성 고도장액성 난소암(난관암 또는 일차 복막암 포함) 성인 환자의 유지요법 ▲ 이전에 3차 이상의 항암화학요법을 투여 받은 적이 있는 1) BRCA 변이(백금 민감성 여부에 무관) 또는 2) 백금민감성 상동재조합결핍 (HRd) 양성인 재발성 난소암(난관암 또는 일차 복막암 성인 환자 포함)의 치료요법으로 허가를 받았다.2
또한 2019년 12월부터 건강보험 적용됐으며, 현재 2차 이상의 백금기반요법에 반응(CR 또는 PR)한 백금민감성 재발성 BRCA 변이 고도 장액성 난소암, 난관암, 일차 복막암의 유지요법(백금계 항암제 완료 후 8주 이내 투여)과 4차 이상 BRCA 변이 재발성 고도 장액성 난소암, 난관암, 일차 복막암의 치료요법에서 급여 처방이 가능하다.1 (단, 이전에 PARP 억제제를 투여 받은 적이 없어야 함)
다케다제약은 2017년 7월 테사로와 판매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4개 국에서 전립선암을 제외한 모든 암종에서 제줄라®의 개발 및 판매 권리를 취득했다. 2019년 GSK가 테사로를 인수하면서 이에 따라 제줄라®의 글로벌 판권은 GSK가, 국내 판권은 한국다케다제약이 보유하고 있다.
다케다제약(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다케다제약은 글로벌 가치 기반 연구개발 중심의 바이오제약 선두기업으로, 일본에 본사를 두고 있다. 다케다제약은 의약품 혁신을 통해 환자들의 보다 건강한 삶과 더 나은 미래(Better Health, Brighter Future)를 만들어 가기 위해 헌신하고 있다. 특히 항암제, 위장관질환, 신경계질환, 희귀질환 등 4대 핵심 치료 분야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혈장유래제제 및 백신의 연구개발에도 투자하고 있다. 다케다제약은 새로운 치료 옵션을 발전시키고 탄탄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수 있는 역량 및 연구개발 협력을 통해 전세계 많은 이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혁신적인 신약 개발에 정진하고 있다. 임직원은 전세계 약 80개국에서 다양한 헬스케어 파트너와 협력하며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헌신하고 있다. 더 자세한 정보는 https://www.takeda.com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다케다제약㈜
한국다케다제약은 싱가포르에 위치한 다케다제약 아시아태평양 지역본부 소속으로, 2011년 4월 국내에 설립돼 한국 내 마케팅 및 영업을 영위해 오고 있다. 한국다케다제약은 환자의 건강 증진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 이념과 ‘성실(Integrity)’의 핵심 가치를 기반으로 엄격한 윤리기준을 준수하며 의약품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제줄라 제품설명서 전문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제품허가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ferences
1 공고번호 제2021-26, 암환자에게 처방•투여하는 투여하는 약제에 대한 공고 개정안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available at: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30023010000&brdScnBltNo=4&brdBltNo=45593&pageIndex=1 accessed on 29 Jan. 2021
2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의약품등 정보>의약품 및 화장품 품목정보>의약품등 정보검색>의약품상세정보> 제줄라®캡슐100밀리그램(니라파립토실산염일수화물).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201901736 accessed on 1 Feb. 2021
3 M.R. Mirza et al. Niraparib maintenance therapy in platinum-sensitive, recurrent ovarian cancer. N Engl J Med 2016; 375:2154-2164& supplementary appendix.
4 Moore KN, et al. Niraparib monotherapy for late-line treatment of ovarian cancer (QUADRA): a multicentre, openlabel, single-arm, phase 2 trial. Lancet Oncol 2019;20:636-48.
5 Niraparib (ZEJULA), Resources for Information on Approved Drugs, FDA homepage, available at:
https://www.fda.gov/drugs/resources-information-approved-drugs/niraparib-zejula accessed on 11 Jan. 2021
6 ESMO, Oncology news, NIRAPARIB RECEIVES FDA FAST TRACK DESIGNATION F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PLATINUM-SENSITIVE OVARIAN, FALLOPIAN TUBE, OR PRIMARY PERITONEAL CANCER, September 15, 2016,
https://www.esmo.org/Oncology-News/Niraparib-Receives-FDA-Fast-Track-Designation-for-the-Treatment-of-Recurrent-Platinum-Sensitive-Ovarian-Fallopian-Tube-or-Primary-Peritoneal-Cancer, accessed on 11 Jan. 2021
7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8-22호, 희귀의약품 지정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고시 available at:
https://www.mfds.go.kr/brd/m_211/view.do?seq=13961&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20 accessed on 11 Jan. 2021
8 Takeda Press Release, July 27, 2017,
https://www.takeda.com/newsroom/newsreleases/2017/tesaro-and-takeda-enter-into-exclusive-licensing-agreement-to-developand-commercialize-novel-cancer-therapy-niraparib-in-japan/, accessed on 11 Jan. 2021
9 GSK Press release, Jan 22, 2019,
https://kr.gsk.com/ko-kr/gsk-%EC%86%8C%EC%8B%9D/%EB%B3%B4%EB%8F%84%EC%9E%90%EB%A3%8C/2019/20190130/, accessed on 11 Jan.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