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K, LATTE-2 결과 발표

  • 등록 2017.08.01 20:36:37
크게보기

HIV 감염인 대상 장기지속형 주사제 카보테그라비르*와 릴피비린의 2제요법에 대한 2상 임상


96주 임상결과, 2제요법과 3제요법 간의 바이러스 억제 효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지난 7월 27일, GSK의 HIV 전문기업인 비브 헬스케어(ViiV Healthcare)는 임상시험 LATTE-2의 96주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LATTE-2는 장기지속성 HIV 주사제인 카보테그라비르와 릴피비린 (얀센의 에듀란트)의 2제요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로, 경구용 카보테그라비르와 2가지의 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억제제(NRTIs)의 3제요법으로 바이러스 억제를 달성했던 HIV감염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오픈라벨의 임상 2b상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는 저명한 의학학술지인 란셋(The Lancet) 온라인판에서 발표됐고,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9회 국제에이즈학회(IAS: the International AIDS Society) 연례 학술대회에서 소개됐다. 

3개 이상의 약제를 포함한 경구용 고정용량 치료제(fixed dose oral treatment)는 HIV 감염인의 복용 부담(pill burden)을 낮출 뿐 아니라 편의성을 개선시키면서 HIV 치료제 발전을 이끌었다. 새로운 HIV 치료제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됨에 따라 바이러스 억제 달성 및 내성 변이의 발현을 줄이는데 복약순응도의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임상연구 LATTE-2는 카보테그라비르와 릴피비린을 주사 투여한 환자군을 투약주기에 따라 4주 또는 8주 투여군으로 나눈 후 카보테그라비르와 2가지의 NRTI제를 매일 경구 복용하는 대조군과 비교했다.

96주간 유지요법 후 LATTE-2에 나타난 바이러스학적 억제율을 살펴보면, 8주마다 1회씩 2제요법 주사제를 투여한 8주 투여군은 94%, 4주마다 1회씩 2제요법 주사제를 투여한 4주 투여군은 87%으로 나타났다. 경구용 3제요법을 복용한 대조군의 바이러스학적 억제율은 84%으로, 각 그룹간의 바이러스 억제 효과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시험 계획서에 사전 정의된 바이러스학적 실패율에 도달한 환자는 8주 투여군에서 2명, 대조군에서 1명이었다. 치료로 인한 내성변이는 보고되지 않았다. 카보테그라비르와 릴피비린 2제요법 주사제를 투여한 환자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난 주사부위반응(ISR: Injection Site Reaction)은 주사부위통증(injection site pain)으로, 대부분 경미하거나(84%) 중등도(15%)이었다. 증증의 주사부위반응이 나타난 증상지속기간의 중간값은 3일이었다. 

비브 헬스케어의 의과학부 최고책임자 존 C 포티지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가 중요한 이유는 2제요법의 바이러스 억제 효과의 지속성(durability) 및 내약성(tolerability)을 96주까지 입증한 데이터를 확보했다는 점이다. 장기지속형 주사제 치료로 HIV 환자들이 매일 약을 복용해야 하는 심리적인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번 LATTE-2 결과는 장기지속형 주사제인 카보테그라비르와 릴피비린이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유지했고 4주 투여군에서는 단 한 건의 바이러스학적 실패가 나타나지 않았다”며 “2018년에 발표할 장기지속형 카보테그라비르와 릴피비린에 대한 3상 임상 연구 결과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보테그라비르는 아직 국내 허가되지 않았습니다.


LATTE-2(NCT02120352)

임상연구 LATTE-2는 전세계에서 다기관, 병행집단, 오픈라벨임상으로, 기존에 항레트로바이러스치료 받지않은 309명의성인 HIV 환자대상으로 진행하고있다. 임상에 등록된 환자는 20주의 유도기간(20-week induction period)동안 카보테그라비르(30mg) + 2가지의 NRTIs를 매일 경구복용하여 바이러스억제효과(HIV-1 RNA <50 c/mL)를 보였고 그후 유지요법기간동안 3개 투여군 즉, 4주마다 1회씩 근육주사로 장기지속형 카보테그라비르(400mg)와 릴피비린(600mg)을 투여한 그룹, 8주마다1회 근육주사로 장기지속형 카보테그라비르(600mg)와 릴피비린(900mg)을 투여한 그룹, 경구용 카보테그라비르(30mg)와2가지의NRTIs를 복용한 그룹으로 무작위배정했다. 1차평가지수(primary endpoint)는 32주 유지요법기간동안HIV 바이러스억제효과와 안전성이었으며 본 임상시험은  104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LATTE-2의 이상반응

유지기간동안 주사제투여군에서 주사부위반응과 관련없이 가장 많이 발생한 이상반응은 비인두염(20%), 두통(14%) 및 설사(12%)였다. 경구복용군에서 유지기간동안 가장 많이 발생한 이상반응은 비인두염(25%), 두통(7%), 및설사(5%)였다. 심각한 이상반응비율은 주사제투약그룹에서 6%(약제와무관), 경구용 카보테그라비르를 복용한 그룹이 5%(약제와 무관)였다. 8주마다 주사제를 투여한 그룹중 환자1명이 약물과 무관한 반응(발작)으로 사망했고, 환자 9명이 이상반응으로 임상을 중단했다. 유지기간동안 나타난 grade 3 이상의 이상반응 비율은 32주까지 주사제형을 투여한 그룹이 16%, 경구복용군이 14%였다. 


편집부 기자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6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