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의 신체는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항해서 강력한 방어체계를 동원할 수 있다는 것이 미국에서 작년에 치료받았던 에볼라 환자 네 명에 대한 연구결과이다. 미국 조지아주의 애틀랜타에 위치한 에모리 대학 (Emory University)의 면역학자인 라피 아메드 (Rafi Ahmed)의 연구팀은 에모리 병원에서 지난해 8월에서 10월 사이에 치료받았던 환자들이 이 바이러스에 대항해서 강력한 면역반응을 보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바이러스는 지난 15개월 동안 서아프리카에서 10,000명의 생명을 앗아갔다. 이 연구팀의 연구결과는 작년 발생한 에볼라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고 있는 점을 확인하고 있다: 즉, 만일 환자가 초기에 치료를 받으면 신체가 감염에 대항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가진다는 것이다. .
미국의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병연구소(US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의 디렉터인 앤토니 파우치 (Anthony Fauci)는 “이것은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경주를 하는 것과 같다. 에볼라 사망률이 90%라는 아이디어는 최악의 조건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만일 동일한 환자를 면역시스템이 작동할 때까지 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한다면 사망률은 20% 미만으로 떨어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에볼라 백신을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연구자들은 어떤 바이러스 단백질이 면역세포, 환자에게서 발견되는 T세포라 불리는 세포에 의해 표적이 되는가를 연구했다. T세포는 대부분 바이러스 안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핵단백질을 표적으로 삼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하지만 현재 임상실험에 있는 에볼라 백신 (현재 기니아와 라이베리아에서 실시되고 있다)은 이 바이러스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당단백질에 대해 면역반응이 시작되도록 제작되었다.
이것은 현재 테스트되고 있는 백신은 작동하지 않을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 백신은 원숭이를 보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백신개발자들이 핵단백질 단편을 포함하기 위해 백신을 재배해야 할지도 모른다. 에모리 대학의 바이러스학자이면서 소아과 의사이며 이번 연구를 위해 고도로 제한된 상태에서 환자세포를 연구해온 질병통제 및 예방센터(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일원인 아니타 맥켈로이 (Anita McElroy)는 “인간의 T세포가 정말로 핵단백질에 관심있기 때문에 우리는 백신에 결합하여 좀 더 좋은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생존자들의 면역반응이 실험치료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여부가 불확실하다. 두 명의 생존자들은 당단백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작된 실험용 항체약물인 지맵(ZMapp)으로 치료를 받았으며 이를 통해서 바이러스 단백질에 대한 신체의 반응을 억제시켰다. 이 연구자들은 두 명의 환자들은 감염에서 치료되고 병원에서 퇴원한 후 한 달이 지난 뒤까지 에볼라 바이러스와 싸울 수 있는 세포를 계속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비록 환자들이 신체에서 전염바이러스를 제거했음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 단편이 남아서 면역시스템이 계속 경고상태에 있게 된다.
이것은 왜 일부 생존자들은 의사들이 ‘포스트-에볼라 신드롬’이라고 부르는 현상 – 신체가 통증과 고통 그리고 시각문제, 피곤과 피부문제가 회복 후에도 지속적으로 경험하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면역시스템은 바이러스와 싸울 수 있는 ‘전투모드’로 준비하고 있으며 감염이 끝난 후에도 이러한 전투모드가 취소되지 않고 손상을 일으키고 있다. 파우치는 “이것은 과도하게 활성화된 면역시스템이 회복 이후에도 증상을 유지하게 된다”고 말했다. 맥켈로이는 이 논문은 너무 적은 숫자의 환자들을 조사했으며 포스트-에볼라 신드롬을 파악하기에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감염으로 인해 살이 30파운드 정도 빠진 뒤에 퇴원한 후에도 정상적이지 않게 된다”고 말했다.
출처: <네이처> 2015년 3월 9일 (Nature doi:10.1038/nature.2015.17068)
원문참조: McElroy, A. K.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http://dx.doi.org/10.1073/pnas.1502619112 (2015).
.
http://www.nature.com/news/ebola-survivors-offer-clues-to-body-s-virus-defences-1.17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