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6 중화와 EGFR 억제를 통한 항암 효능

  • 등록 2015.02.23 23:26:40
크게보기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5-02-23

 
염증성 인터루킨인 IL-6 의 과다한 생산은 난소암을 포함하는 다양한 암들에서 국소와 전신에 걸쳐 종양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전의 임상 II 상 연구에서 발전된 난소암 환자들을 중화 IL-6 항체로 치료한 경우 효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영국 런더 퀸 메리 대학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의 볼크윌 (F.R. Balkwill) 교수 연구팀은 IL-6 중화 항체와 STAT3 억제가 난소암에서 EGFR을 상승시키는데 충분하기 때문에 이러한 임상 결과를 설명한다고 발표했다. EGFR 길항제인 게피티닙 (gefitinib)으로 세포를 치료하면 EGFR 경로들의 상승작용은 차단되었다. 중화 IL-6 항체들과 gefitinib의 혼합은 2D 와 3D 세포 배양에서 악성 세포들의 성장을 저지시켰다. 연구팀은 조사된 난소암 세포의 핵에서 ErbB-1이 주로 위치했는데 이것은 폐암 세포에서 세포막에 위치와는 다른 것이다. 항-IL-6, gefitinib이나 이들의 혼합치료는 세포막 ErbB-1 의 부분적인 복구를 유도한다. 생체 내 실험에서 EGFR 경로들에 대한 IL-6 억제의 효과와 악성 종양 세포 성장에 대한 항-IL-6 항체들과 gefitinib의 혼합 치료로 인한 향상된 작용을 확인했다. 종합해 볼 때 발달된 난소암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항-IL-6 항체들과 gefitinib을 혼합한 치료법의 전임상적인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루킨-6 (interleukin-6, IL-6)과 주요한 하위단계의 전사인자인 STAT3의 비정상적인 조절은 많은 인간 암들의 특징들 중 하나이다. IL-6과 STAT3 의 지속적인 생산은 악성 세포들에서 하위단계의 몇 가지 암발생 유전자들의 돌연변이로 발생하고 IL-6이 다양한 실험용 암 모델에서 종양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IL-6은 HGSC (high-grade serous ovarian cancer)와 CCC (clear cell ovarian cancer)의 병리생리학적 현상에 관여하고 있다. 이전에 연구팀은 악성 세포들에 의한 지속적인 IL-6 생산이 HGSC에서 암이 연관된 염증과 사이토카인 네트워크의 주요한 조절 인자이고 국소적이고 전신에 걸친 종양 촉진 작용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생쥐 모델에서 항-IL-6 항체들은 항-종양 작용, 악성 세포와 간질의 상호작용 차단, 백혈구의 침투와 신혈관형성 및 혈관을 정상화시키는 효능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발전된 HGSC 환자들에서 항-IL-6 항체의 임상 II 시도에서 몇몇 작용을 보고했지만 지속적인 반응들은 관찰하지 못했다. 치료된 17 명의 HGSC 환자들 중 한 명은 항-IL-6 치료에 대해 부분적인 반응을 보였고 7 명은 질병의 안정성을 보였으며 전신에 걸친 몇 가지 사이토카인들, 염증과 종양 바이오마커들의 수준은 치료 과정에서 감소되었지만 암이 감소된 경우 상승되었다. 

HGSC 환자들에서 IL-6 차단제의 낮은 효능에 대해서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이전에 연구팀은 이러한 현상에 대한 주요한 요소가 악성 종양 사이토카인 생산의 복합성 때문임을 제안했다. IL-6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은 난소암 세포들에서 다른 염증 매개체들과 성장 요소들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을 한다. 연구팀은 악성 세포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생산되는 IL-6의 차단이 그들의 작용을 보완하는 신호전달 경로들에서 상호적인 피드백 조절을 유도하여 중화 항-IL-6 항체들의 효능을 감소시킨다고 가정했다. 이러한 가정을 조사하기 위해 연구팀은 중화 항-IL-6 항체들로 난소암들을 처리하고 세포 내부의 신호전달 경로들에서 유도되는 변화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난소암과 난소암 이종이식에서 IL-6 신호전달의 차단이 EGFR 신호전달과 ERK 활성화를 상승 조절하는 현상을 관찰해 냈다. 또한 연구팀은 Gefitinib과 중화 항-IL-6 항체들의 혼합이 항암 작용을 향상시키는 현상을 관찰했고 이러한 결과가 임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안하고 있다. 



기자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5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