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백병원 박홍균 교수
Real world data: Asian patients with AF
연자 : 일산백병원 박홍균 교수
금일 좌담회에서는 edoxaban의 RWD, 특히 한국에서 진행된 RWD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Limitations
of results of RCT for NOACs
R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데이터는 장점이 명확하지만 엄격하게 선별된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real-world에서
마주치게 되는 다양한 변수를 가진 환자군에 결과를 일관되게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다른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분석이 가능한 RWD는
RCT 대비 경제적이고, 보다 다양한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진에게 중요한 데이터라
할 수 있다.
4가지 NOAC의 주요 RCT 결과를 통해 NOAC이
warfarin 대비 유효성 측면에서 유사하거나 보다 우월하고, 출혈에
대한 안전성을 명확하게 입증하는 데 성공하였다. Edoxaban 역시 ENGAGE AF-TIMI 48 연구를 통해 심방세동 환자에서 warfarin과
비교하여 유효성과 안전성을 보여주었고, 아시아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edoxaban 60 mg과 30 mg은 warfarin 대비 뇌졸중/전신색전증, 주요 출혈의 발생 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위장관 출혈에 대해서는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ENGAGE AF-TIMI 48
연구에 참여한 아시아 환자 수는 1,943명으로 비아시아 환자군의 10%였으며, 다른 NOAC의 RCT 연구에서도 아시아 환자군의 비율은 비아시아 환자군의 10% 내외
수준에 불과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아시아 환자에서 NOAC의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해서는 과학적인 근거가 아주 충분한 것은 아니게 되며, 따라서 RWD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Korean
RWD of edoxaban (I)
서울의대 최의근 교수와 이소령 교수팀에서 2018년 edoxaban에
대한 RWD를 발표하였다.
1) Methods
2013-2016년 경구 항응고제 치료를
받은 심방세동 환자 데이터 중 2014년부터 경구 항응고제 신규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뇌졸중 또는 ICH, 위장관 출혈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 85,818명을 선별하였고 1:3 성향 점수 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통해 edoxaban군
4,061명, warfarin군 12,183명을 선별하여 허혈성 뇌졸중, ICH, 위장관 출혈로 인한
입원, 주요 출혈로 인한 입원,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허혈성 뇌졸중+ICH+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에 대한 위험을 분석하였다.
허혈성 뇌졸중은 I63, I64 code를 사용하였고 1회 이상 입원 및 CT (computed tomography)나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를 이용하여 뇌 영상검사를 1회 이상 진행한 경우로 정의하였는데, 실제진료현장에서 code를 먼저 넣어놓는 경우 등의 상황을 고려할
때 허혈성 뇌졸중에 대한 정의는 다소 명확하지 않았던 것이 약간의 아쉬움으로 생각한다. ICH나 주요
출혈/위장관 출혈로 인한 입원에 대해서는 ICD code와
입원 등의 정의를 사용하여 비교적 명확하게 정의했다.
2) Results
분석에 포함된 warfarin군과 edoxaban군은 성향 점수 매칭 후 baseline characteristics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6 study outcomes
6개 결과 지표인 허혈성 뇌졸중, ICH, 위장관 출혈로 인한 입원, 주요 출혈로 인한 입원,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및 허혈성 뇌졸중+ICH+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의 복합 평가변수에 대해 warfarin 대비 edoxaban이
용량에 관계없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Figure
1). Edoxaban 60 mg은 warfarin 대비 허혈성 뇌졸중에 대해 31%, ICH에 대해 59%, 위장관 출혈에 의한 입원에 대해 40%, 주요 출혈에 의한 입원에 대해 47%,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에
대해 28%, 허혈성 뇌졸중+ICH+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의
복합 평가변수에 대해 33%의 위험 감소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