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학교병원 신경과 장재원 교수, 차세대정보산업실 박상원 교수 연구팀 (인디애나대학교
노광식 교수팀·분당서울대병원 박영호 교수 연구팀 공동 수행)이 혈액 속 지질 정보를 활용하여
알츠하이머 치매 전 경도인지장애 수준에서 장기적 인지 기능 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지난 6월 22일부터 24일까지 개최된 2025 대한의료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학술연제상을 수상하였다.
연구팀은 기계학습과 통계적 모형을 적극 활용하여 다양한 알고리즘 제시와 비교,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한 정확한 파이프라인를 제시하여 최적화 모델 제시와 인지 기능 저하 예측에 중요한
지질체 요인을 규명하였다.
특히, 선행 연구가 많이 되어있지 않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했다는 점과, 연구 디자인의 우수성,
인공지능 기술의 의료 분야 적용과 미시적 바이오마커를 발굴했다는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해당 연구의 중점인 경도인지장애는 기억력이나 기타 인지기능 저하가 객관적인 검사에서 확인될
정도로 뚜렷하게 감퇴된 상태이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되어 있어 아직은 치매가 아닌
상태를 의미한다. 경도인지장애는 통계적으로 매년 약 10~15%가 치매로 진행된다. 이 상태는
치매를 가장 이른 시기에 발견할 수 있는 단계이며 치료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단계에 해당된다.
연구팀은 미국 ADNI 데이터에 등록된 3,378명의 경도인지장애 환자 중, 3년 연속 추적 관찰기간
동안 혈액샘플을 제공하고 지질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322명에 대해 추적 조사하여 장기적
인지 기능 저하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 개발과 바이오마커를 발견하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체내 지질 정보를 통해서도 인지 기능 저하 요인을 충분히 밝혀낼 수
있으며, 장기간의 간단한 혈액검사를 통해서도 효과적인 치매 예방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며, “앞으로도 더 발전하고 신뢰받을 수 있는 의료
데이터 과학자이자 뇌신경 데이터 과학자로서 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