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시간 잘 때 우울, 불안 및 자살생각 제일 낮아[첨부파일 참조]

  • 등록 2017.02.21 19:34:10
크게보기

직장인 20만명 조사 결과, ‘수면과 생체리듬’ 1월호에 게재


직원의 수면 권리 보장하면 기업이 건강해진다



장거리 출퇴근, 잦은 야근, 자기 계발 등에 시달리는 직장인들에게 충분히 잠을 자는 것은 먼 나라의 이야기로 느껴진다. 대부분 회사원들은 적게 자고 부지런히 일하는 것을 성공의 미덕으로 여기지만, 부족한 수면은 기억력과 집중력 감퇴로 인한 낮은 업무 효율성뿐 아니라 건강에도 안 좋다는 것이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수면은 우울과 불안, 자살생각 등으로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준다. 최근 한국 직장인의 수면과 정신건강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호철) 기업정신건강연구소(소장 신영철)는 2014년 한 해 강북삼성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20~40대 근로자 20만 4,629명을 대상으로 수면 시간, 직무스트레스 정도, 우울과 불안, 그리고 자살생각을 조사했다. 수면 시간은 하루 평균 4시간 이하부터 10시간 이상까지 한 시간 단위로 7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 하루 7시간의 수면을 기준으로 수면시간이 부족하거나 길면 우울, 불안, 자살생각이 점차 높아지는 완만한 U자 형태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경향은 잠이 부족한 경우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7시간 잠을 잔 그룹이 우울, 불안, 자살생각 유병률이 각각 4.3%, 2.0%, 5.0%인 반면, 4시간 이하 그룹은 16.0%, 9.1%, 12.7%로 7시간 수면에 비해 유병률이 약 2~4배 높았다. 



연령, 성별, 직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같다고 볼 때 우울감의 정도가 비슷한 사람들 중에서도 4시간 이하로 자는 사람들은 7시간 수면 그룹에 비해 자살생각이 1.9배 높았고, 불안감의 정도가 비슷한 사람들의 경우에도 2.2배 높았다. 10시간 이상 잠을 자는 그룹에서도 자살생각은 우울한 사람들과 불안한 사람을 모두 1.3배 높았다.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임세원 부소장(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연구 결과를 바꾸어 생각해보면 우리나라 직장인들에게 7시간의 수면시간을 보장하면 우울증과 불안장애, 심지어 자살까지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며, “하루 24시간 중 3분의 1을 차지하는 7~8시간의 적정 수면은 직원의 건강과 행복뿐 아니라 기업의 경쟁력까지 높이는 기회비용임을 깨닫고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이다”고 말했다.

임세원 부소장은 직장인의 수면건강을 위해 ▲ 자기 전 스마트폰 멀리 하기 ▲ 아침기상은 스마트폰이 아닌 알람시계 사용 ▲ 커피와 같은 카페인 섭취 줄이기 ▲ 잠들 시간 아닌데 미리 잠자리에 들지 않기 ▲ 일정한 기상시간 지키기 등의 다섯 가지 생활 습관 실천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수면의학분야 국제학술지 ‘수면과 생체리듬’ 1월호에 게재됐다.


* 직장인을 위한 수면건강 5계명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임세원

1.  자기 전에는 스마트폰을 멀리 한다 : 최근 젊은 직장인들의 불면증을 악화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다. 잠이 오지 않는다고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는 것은 눈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불면을 악화시키는 대표적 원인이다. 

2.  아침기상은 알람시계로 : 아침에 일어나기 위해 스마트폰이 필요하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자기 전 머리맡에 있는 스마트폰을 단지 아침기상 시 알람으로만 쓰려면 엄청난 의지가 필요하다. 잠자리에 들어갈 때 스마트폰은 거실에 두고 알람은 자명종 시계로 일어나도록 하자. 초침소리에 거슬릴 정도로 예민한 사람이라면 디지털 알람시계를 사면 된다. 

3.  카페인(커피)을 줄인다 : 요즘 직장인들, 특히 여성들의 경우 너무 많은 커피를 마시고 있다. 불면증에 시달린다고 병원을 방문하면서도 하루에 커피를 4-5잔씩 마시는 직장인들을 흔히 만나게 된다. 커피부터 줄여야 한다.

4.  미리 잠자리에 들지 않는다 : 잠이 오지 않는데도 일찍 잠을 자겠다는 생각에 잠자리에 미리 들어가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수면에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잠이 들 시간이 아닌데 미리 눕는 다고 잠이 올 수는 없다. 

5.  기상시간을 일정하게 한다 : 잠이 드는 시간은 내가 정할 수 없지만 일어나는 시간은 정할 수 있다. 밤잠이 부족했더라도 주중에는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야 한다. 그럼으로 인해 밤에 잠이 들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단, 주말에는 평소보다 조금 더 늦게 일어나도 괜찮다.

편집부 기자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5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